티스토리 뷰
목차
사람의 치아는 이생 치성 이기 때문에 유치에서 서서히 영구치로 이행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른 장기에서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며, 치열, 교합은 비교적 단기간에 급속한 변화를 일으킨다. 이들 악구강계 기관의 발육 변화 이외에 전신적인 심신의 발육과 사회생활의 변화가 가해져서 소아의 구강은 여러 가지 질환이나 이상이 발육 단계별로 특징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소아치과 영역에서는 발육단계를 분류하는 방법으로서 교합의 발육을 기준으로 한 helleman의 치아 연령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1. 태아기, 무치열기
태아기부터 출생 후 신생아기는 유치 및 일부 영구치의 치배 발생기, 석회화 개시기이다. 임산부의 임신 중 건강상태와 분만 형태, 신생아의 건강상태, 질병과 영양상태가 치아 형태와 치질에 영향을 주고 구순, 구개열과 같은 악구강계 기관의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2. 유치열 완성 전기
이 시기의 소아가 내원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 그러나 1세 6개월과 3세 유아에 대한 치과 검진에 대해 어머니에게 지도해야 할 내용은 많다.
*섭식 기능은 포요를 위한 반사적 빨기가 시작되는 시기부터 고형식을 저작, 연하 하는 저작기능으로 전환하는 시기 까지로서 저작, 연하 운동의 발달에 중요한 시기이다.
*모유의 장기간 수유, 우유병 사용에 사용한 음료수의 음용 습관 등에 의해 저 연령 유아의 상악 유전치에 우식이 발생하게 된다.
*바이러스를 중심으로 한 치은 구내염, 상순, 혀에서 볼 ㅅ 있는 소대 이상 등 여러 가지 구강 연조직 질환과 이상이 나타난다.
*유치의 맹출 시기, 순서에 이상이 나타난다.
*잘 넘어지는 시기이므로 입술이나 치아에 외상을 입기 쉽다.
3. 유치열 완성기
내원 소아환자의 상당 수가 이 시기에 해당 된다.
*유전치 우식이 더욱 진행되고 유구치 우식이 다발하는 시기이며 치료가 가장 요구되는 시기이다.
*유전적 요인에 의한 골격성 교합 이상 및 손가락을 빠는 버릇 등 습관적 요인에 의한 기능성 치열 및 교합 이상이 발견되며, 조기치료가 검토되는 시기이다.
*구강의 기능, 예를 들어 저작, 발음 등 발달상의 지연과 장애도 나타나는 시기이다.
4. 제1대구치, 영구 전치 맹출기
이 시기에는 학교 구강보건교육이 실시되고 정기적인 구강관리가 실시된다.
*교합의 열쇠라고 할 수 있는 제1대구치가 맹출을 시작하고 영구치열 및 교합 이상에 영향을 주는 제1대구치의 맹출 이상이 나타난다.
*전치가 교환되는 시기를 맞이하여 유전치의 우식, 과잉치 등의 다양하나 원인에 의해 영구전치의 치열 및 교합 이상이 새로 일어나기도 하고 이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맹출 후 곧이어 제1대구치의 교합면 우식이 다발하는 시기이다.
*스포츠 등의 옥외활동이 활발한 시기로서 영구 전치의 외상이 호발 한다.
5. 측방치군 교환기
*유견치, 제1,2유구치가 각각의 후속 영구치와 교환하는 시기이다. 유규치의 우식 영향으로 영구치의 맹출 순서가 문란해지거나 맹출 위치 이상이 일어나서 영구치열의 부정교합이 많이 나타난다.
*영구전치의 인접면, 제1대구치의 근심 인접면 우식이 다발한다.
*전치를 중심으로 한 치은염이 발생하기 쉽다.
6. 영구치열의 완성기
구강보건교육의 지도 또는 일상생활에서 구강질환에 대한 예방이 가장 곤란한 시기이다.
*치열, 교합 이상이 확실히 나타나며 본격적인 치과교정치료를 개시해야 하는 시기이다.
*제2대구치, 소구치의 교합면 우식이 다발한다.
*전치를 중심으로 한 교합성 외상을 수반한 치주염의 발병시기이다.
유치는 해부학적 형태가 영구치와는 다를 뿐 아니라 생리학적으로도 큰 특징이 있다. 그 가장 현저한 차이점은 계승치가 발육함에 따라 치근이 생리적으로 흡수되어 영구치와 교환된다는 것이다. 이 교환의 시기와 순서는 영구치열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유치의 치질과 구조에 있어서도 법랑질과 상아질은 영구치보다 얇고 또 치아의 외형에 비해 치수강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 이 때문에 우식의 진행이 빠르고 치수가 감염되기 쉽다. 그러므로 치관 수복 시에도 와동의 형태나 깊이 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유치의 색조는 청백색을 띠고 있으며 또 법랑질의 경도가 영구치보다 낮기 때문에 교모되기 쉽다.